반응형 이론2 반복문 반복문은 말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어떤 조건에 참이고 그 조건에 거짓이 될때까지 계속 반복을 하는 것이다. 가장 우리가 흔히 생각 할수 있는것이 바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입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는 술래가 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를 다 말하기 전에 뒤를 볼수 없다는 조건이 있고 이 조건에서 술래를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이 조건에서 자유로이 움직일수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항상 이것이 반복됩니다. c언어에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보겠습니다. 우선 가장 대표적이라 할수 있는 for문을 예로 들겠습니다. for ( 초기화 ; 조건 ; 수식) { 실행구문; } 위와 같이 사용합니다. 우선 초기화부분에는 a= 1 이런식으로 어떤 변수의 값을 초기화 시켜주는 구문을 쓰면 되고, 조건에는 a>10 , a !=.. 2009. 10. 13. 조건문 조건문은 일종의 가정을 하거나 선택을 하는 겁니다. 만약 이거라면~~ 이나 혹은 이거 아니면 저거 라는 식이죠. C언어에서 조건문은 우선 if 구문이 있습니다.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if ( 조건) { 실행구문;; } if뒤에 조건에는 어떤 일정한 조건을 넣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자면 영희는 남자인가? 이런식으로 조건을 주는 겁니다. 조건이 참이어야만 실행구문을 실행하게 됩니다. C언어에서 하듯이 써주면 if ( a == 0) { printf("%d\n", a); a = 1; } 이와같이 쓸수 있습니다. 위에 부분을 해석하면 a값이 0과 같으면 a의 값을 화면에 출력하고 a에 1을 넣어주는 코드 입니다. 만약 a에 값이 0 이 아니라면 if문의 실행구문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자 . 아마도 저경우 말고.. 2009. 10.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