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란 이전에 설명한것과 같이 변할수있는 것입니다. C언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char, int, float, double과 short, long, unsigned가 있습니다.
char는 문자형 데이터를 가질수 있는 변수를 선언할수 있게 해주며, 기본형은 char a; 이와 같이 선언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선언된 변수 a는 문자를 가지는 변수가 되는것이며, 크기는 1 byte입니다. 물론 숫자를 입력할수도 있습니다. 선언과 입력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char a; char b, c, d='1';
a = 'b'; b = d;
c = 65;
위의 두가지 경우중 틀린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아마도 변수 c에 대한 것이 조금 의아스러울것입니다. char는 책을 읽어본사람이거나 공부를 약간 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char 형 변수는 정수 -128~127 사이의 값을 나타낼수 있습니다. 여기서 양의 정수인 0~127까지 128개로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Code라고 해서 128가지의 문자로 이루어진 표가 있습니다. C언어책 제일 뒤부분에 부록으로 거의 표가 첨부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 ASCII Code값을 이용하여 컴파일러가 숫자를 문자로 나타내어 주는것이므로 c=65; 라는 문장은 틀린것이 아닙니다.(여기에 대해 궁금한점은 다시 질문해주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ASCII Code 표에 보면 65는 'A'가 갖는 값이므로 c='A'; 이와같이 표기해주는것이 좋습니다.다. 그리고 char 형에 문자열( ex_ 'asfasd')도 넣을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배열과 포인터가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int 는 정수형 데이터를 가질수 있는 변수를 선언할수 있게 해주며, 기본형은 int i; 이와 같이 선언을 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선언된 변수 i는 숫자를 가지는 변수가 되는것이며, 크기는 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Window에서는 4 byte입니다. 물론 문자로 숫자를 대신하여(ASCII Code 값에 대응하는 수) 입력할수 있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선언과 입력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int i; int j, k=0;
i = 10; j = k;
위와 같이 선언하고 입력해줄수 있으며, 가지고 계신 책에 보면 int 형의 범위에 대해서 나올것입니다. 그 숫자를 넘게 되면 의도하지 않은 숫자가 입력되므로 주의하는게 좋습니다.
float 는 실수형 데이터를 가질수 있는 변수를 선언 할 수 있게 해주며, 기본형은 float i; 이와같이 선언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선언된 변수 i는 실수형 숫자를 가지는 변수가 되는 것이며,크기는 4 Byte를 가지게 됩니다. 선언과 입력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float i; float j, k=10.1;
i=0.1; j=k;
위와 같이 선언하고 값입력도 가능합니다.
double 은 float와 마찬가지로 실수형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 변수를 선언 할 수 있게 해주며, 기본형은 double i; 이와같이 선언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선언된 변수 i는 실수형 숫자를 가지는 변수가 되는 것이며, 크기는 8 Byte를 가지게 됩니다. 선언과 입력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double i; double j, k=10.1;
i=0.1; j=k;
위와 같이 선언하고 값입력이 가능합니다.
위에서 중요한것은 {데이터형} {변수명}; 과 같이 선언 할수 있다는 것이며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서 올바른 데이터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변수명은 가급적 중복되거나 헷갈리지 않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