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90

확장자 .rtf파일 저장방법 일부 파일들 중에 확장자가 .rtf 인 파일들이 있다. 이 파일들은 한글 이나 워드에서 모두 열기가 가능하다. rtf 는 Rich Text Format으로 이 파일의 장점은 한글과 워드에서 모두 호환이 가능하다는 점~~~~~~~~ 한마디로 한글에서 편집하다가 워드에서 편집을 할 수 있다는 점~~~~~~ 원래 보통 한글에서 작업하던 파일은 워드에서 열면 깨지거나 @)#$(#$!)(#*!)(@# !@()# 이런 형식으로 글씨가 나와서 속상한 경우가 많았다.... 당연히 워드에서 작업하던 파일을 한글에서 열면 똑같다.... 뭐 일부 사람들은 "계속 같은 프로그램쓰면 되지"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일부 PC에서는 한글이나 워드 둘중에 하나만 깔려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한글 97 로 저장하거나 워드 이.. 2012. 6. 11.
C# 기초공부2 생성자, 소멸자 생성자는 말그대로 class를 생성하는 것이다. 중요한건 생성자는 여러개일수 있지만 class의 이름과 같아야 하고 오버로딩이 가능해야한다. 소멸자는 말그래도 class를 소멸시키는 것이다. 생성자와 마찬가지로 class의 이름과 같아야 하지만 앞에 ~을 표시한다. class 선언에 있어 생성자와 소멸자는 딱히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상당히 중요하다. 물론 처음에 연습으로 깨작거리는것정도에는 만들던 말던 상관없겠지만 반드시 만들어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indexer 스마트 배열이라고 불린다는 인덱서는 get, set을 이용해 내부변수 값을 얻어오거나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스턴스변수를 배열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변수에 배열이 있어야 사용 가능하겠지.. 2012. 6. 1.
C# 기초공부 1 C#은 변수나 식별자를 사용할때 한글사용이 가능하다. int 숫자=0; 요딴거 되는거임. C#은 변수 선언을 함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야한다. int val; val = 0; 요딴식으로 사용하면 안된다. Convert 클래스라는게 잇다. ToBoolean, ToInt16, ToInt32, ToInt64, ToString, ToByte, ToUInt16, ToUInt32, ToUInt64, ToChar, ToDecimal, ToSByte, ToDouble, ToSingle 등이며 사용법은 System.Convert.ToXXXX(변수 혹은 상수) 이다. 형변환해주는 기능이라 볼수 있다. Class선언에 3가지 방식이 있는데... public, abstract, sealed가 있다. public은 말그대로 여기.. 2012. 5. 25.
C#프로젝트 만들기 C#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나는 Microsoft visual studio 2008을 사용햇다. 2010도 나왔다는데 그건 없음..ㅡㅡㅋ C#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2008을 잘 써야되는데.. 친절하게도 응용프로그램 만드는 방법등이 첫화면에 나온다... 그것만 보고 따라해도 어느정도 따라갈순 있다... 그러니 2008을 켠뒤에 시작에 보면 첫응용프로그램만들기라는 항목을 눌러서 거기서 안내해주는대로 따라하다보면 첫번째 C#프로그램을 만들수가 있다... 고럼 한번 그걸 찾아서 따라해보길 권장한다. 끝............ 2012. 5. 25.
C#공부 PC프로그램을 짜야되서 C#을 공부해야된다. C#은 뭔가 MFC나 API랑은 많이 다른거 같다. 차근차근 공부해보면 잘되거찌...ㅡㅡㅋ 문제는 .netframework버전에 따라 동작유무가 결정되고 없으면 안된다는게 맘에 안들지만... 현재로써는 다른것보다는 괜찮은것 같아서 우선 배운다.. 무엇보다도 web프로그램도 된다고 하니깐.... 잘해봐야겠다!! 2012. 5. 17.
WIN7 명령프롬프트창에서 net user 계정 /active:yes 오류 WIN7에서 사용자계정의 권한을 주기 위해서... 명령프롬프트창에 net user 계정 /active:yes 를 입력해서 권한을 줄수 있는데... 그냥 하면... 시스템 오류 5이(가) 생겼습니다.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볼수 있다. 이건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권한실행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여 다시 명령어를 입력하면 제대로 된다.. 2012. 4. 4.
반응형